부모가 자주 하는 실수, 아이의 정서에 주는 영향

“그냥 툭 던진 말이었어요.” “그땐 몰랐는데, 지금 생각하면 미안하더라고요.” 부모의 말과 행동은 아이에게 상처가 되기도 하고, 평생을 지탱하는 정서적 기반이 되기도 합니다. 사소해 보이지만 반복될 경우 아이의 정서에 깊은 영향을 주는 부모의 실수들, 지금부터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1. 비교하는 말: 자존감을 무너뜨립니다

“동생은 잘만 하잖아.” “친구들은 다 했대.” 이런 말은 아이에게 있는 그대로의 나를 부정당했다는 인식을 심어주며, 자기 효능감을 떨어뜨립니다.

대신 이렇게 말해보세요:

  • “너는 너의 속도로 가는 거야.”
  • “어떤 점이 어려웠는지 우리 같이 생각해보자.”

2. 감정 무시하기: 공감 능력을 낮춥니다

“그 정도 일로 왜 울어?”, “그게 뭐가 화날 일이야?” 이런 반응은 아이의 감정을 하찮게 여기게 만들고, 감정 표현을 억제하게 합니다.

  • 정서적 표현을 무시당한 아이는 나중에 감정을 숨기거나 폭발할 수 있습니다.

공감 표현 예시:

  • “속상했겠구나.”
  • “화가 날 수도 있겠다. 같이 이야기해보자.”

3. 과한 간섭: 스스로 결정할 기회를 빼앗습니다

모든 걸 대신 해주고, 항상 지시하는 양육은 아이의 자기결정 능력과 자율성을 저해합니다.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지 못하는 아이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실천 팁:

  • 작은 선택부터 맡기기 (예: 옷 고르기, 간식 고르기)
  • 실수해도 지켜보며, 경험으로 배우게 하기

4. 꾸준하지 않은 훈육: 불안정한 정서 형성

어제는 허용되던 일이 오늘은 혼나는 경우, 아이는 일관되지 않은 규칙에 혼란을 겪습니다. 이는 정서적 불안감, 눈치 보기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 가족 간 훈육 기준 통일하기
  • “앞으로 이런 상황에는 이렇게 말할게” 예고 후 실행

5. 조건부 사랑 표현: 사랑을 ‘보상’처럼 인식하게 됩니다

“착하게 굴면 엄마가 좋아해.” “점수 잘 받아야 사랑받는 거야.” 이런 표현은 아이에게 사랑받기 위해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는 인식을 심어줍니다.

대신 이렇게 말해보세요:

  • “어떤 모습이든 너는 소중해.”
  • “결과보다 너의 노력이 자랑스러워.”

6. 사과하지 않기: 정서적 소통 단절

부모도 실수할 수 있지만, 사과하지 않는 태도는 아이에게 ‘권위=무오류’라는 인식을 심어줍니다. 아이 역시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거나 잘못을 인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부모의 사과 예시:

  • “아까 엄마가 너무 화내서 미안해.”
  • “그건 엄마가 잘못 생각했어. 다시 이야기해보자.”

마무리하며

완벽한 부모는 없습니다. 하지만 작은 실수도 반복되면 아이의 정서에 큰 흔적을 남길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의식적으로 말하고, 행동하고, 사과하고, 감정을 들어주는 태도를 실천해보세요. 그것이 아이의 마음을 지켜주는 가장 강력한 정서 교육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부모가 꼭 알아야 할 ADHD 초기 증상과 대처법

아이가 친구를 못 사귈 때, 부모가 도와줄 수 있는 대화법

아이의 사회성 발달, 놀이로 돕는 6가지 팁